바람 후원 감사합니다^^ > 열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열린게시판

자랑스러운 우리는!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바람 후원 감사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1,883회 작성일 10-08-15 13:05

본문

녕하세요 저는 대학생사람연대 동아대 대표 배성민입니다.
전국노회 부산 회원분들의 작은 후원으로 바람에 잘 다녀왔습니^^

아래에는 저희가 갔다온 내용 입니다.
 

우리 4대강사업 반대 도보 순례단 ‘생명 평화의 바람’을 후원, 응원 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사정이 여유롭지 않아 간단하게나마 브리핑을 올립니다. 다시 한 번 감사와 연대의 인사를 전합니다.


‘바람’이 지나온 장소는 사람이 행복한 곳 이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행복한 장소는 사람만 있는 곳이 아닌 자연과 생명이 함께하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불어온 바람은 4박 5일, 지리산을 흐르며 점점 더 행복해졌습니다.


2일 남원에 모인 40여 명의 ‘생명 평화의 바람’은 지리산으로 가기 전 남원 초록배움터에서 첫 하루를 지냈습니다. 첫 만남은 언제나 어색함과 긴장감이 돌기 마련이지만, 같은 마음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서인지 금방 친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각기 다른 신발들처럼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진 사람들이었지만, 생명과 평화를 향한 한 마음으로 ‘바람’은 따듯한 바람으로 응집되기 시작했습니다. 새벽에 일찍 나오느라 청소를 제대로 못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사과드려요.^^   


SG105028.jpg

 

 

3일 아침에는 지리산 화엄사에서 등산을 시작했습니다. 서로를 격려하며 노고산 대피소에서 둘째 날을 보낸 바람은 넘기 힘든 계곡을 만날 때마다 조금씩 지치기도 했지만, 산 밑에서 올라오는 구름을 따라 함께 지리산을 올랐습니다. 도중에 부상자가 생기기도 하고, 일정이 지연돼 밤에 산행을 하다가 곰을 만나기도 했지만 -_-;;, 지리산에 오르시던 여러 분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지리산을 내려올 수 있었습니다.

 

 

SG105031.jpgSG105032.jpg

 


산행을 하는 저희를 보던 분들은 무엇 때문에 대학생들이 이곳에 오게 되었느냐고 묻기도  하셨습니다. 바람이 모인 목적을 말씀드리자, 어느 분들은 먹을 것을 나눠주거나 후원금을 전해주시기도 하셨습니다.



노고단에서 연하천과 벽소령을 지나 천왕봉에 다녀온 저희는 지금 안동에서 하회황토건축학교에 머물고 있습니다. 부상 때문에 혹은 갑작스러운 일이 생겨 몇 명이 끝까지 저희와 함께하지는 못하게 되었지만, 산을 넘어오며 뭉쳐진 바람은 앞으로 남은 5일을 여태보다 더 힘차게 나갈 것입니다. 강을 따라 불어갈 바람은 황폐해져 식어가는 낙동강에 따듯한 생명의 온기를 심어갈 것입니다.

 

 

 SG105058.jpg  SG105060.jpgSG105062.jpg   SG105091.jpgSG105098.jpgSG105112.jpgSG105114.jpgSG105123.jpgSG105145.jpgSG105155.jpg

 

 

바람을 도와주신 분들

 

사람연대, 사회당, 전국노동자회,인연맺기운동본부, 행동하는 의사회, 진보신당

인천사람연대,지리산초록배움터, 지리산생명연대, 지리산사람들, 생명그물, 강과 습지를 사랑하는 상주사람들, 구미YMCA, 하회황토건축학교, 의평마을회관, 신림리 마을회관, 김병관, 지율스님, 서울대학교 운하반대교수모임, 한살림,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학회 디딤돌,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생회 ucc, 국민대학교 동아리연합회, 한국교원대 총학생회 청람대로,  한국교원대 동아리연합회  

 

이후 바람의 주요일정

 7일 지율스님과의 야영 (상도 촬영지)

 8일 지율스님과의 낙동강 도보순례

10일 낙동강 하구둑 답사 및 부산 서면 문화제



8월 6일  [안동하회마을]

 

  드디어 낙동강을 따라서 걷는 첫 날, 안동화회마을의 병산서원 앞에서 반가운 손님을 만났습니다. 자신을 참여연대에서 일한다고 밝힌 시민 한분이 ‘바람’을 보더니 힘내라며 물과 아이스크림을 사주시고 가셨답니다.

 

  힘 받은 우리들은 안동의 깍아 지는 듯 한 절벽과 모래톱 위를 걷다가 하회마을로 들어가는 산길을 걸었습니다. 안동을 휘감고 흐르는 낙동강 물을 따라 걷다보니 어느새 부용대로 건너가기 위한 나루터까지 다다랐습니다. 그러나 폭우가 쏟아져 한동안 걸음을 멈추어야 했답니다. 그러나 하늘도 우리의 걸음을 재촉하는 듯 비가 그치고, 나룻배를 타고 부용대로 향했습니다.

 

IMGP0100.pngDSC00308.png

 

부용대위에서 지켜본 낙동강은 정말로 아름다웠습니다. 이런 곳에 한 때 보를 설치하겠다고 생각했던 이명박 정권이 황당할 따름입니다. 낙동강을 따라서 걷던 중간에 사진을 찍고 있던 지율스님을 우연히 만났는데, 내일 보자며 황급히 자리를 피하셨답니다. ^^

 

  오늘 숙소는 대구에서 온 청소년들과 함께 했습니다. 대구 앞산마을 학교라고 하는 곳인데, 이들도 4대강 반대의 마음을 가지고 왔다고 합니다. 반갑고 기특합니다.

 

  밤에는 부산의 시민단체인 생명그물에서 이준경 씨가 오셔서 12시까지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유익하고 알찬 강연이었습니다. 하회황토건축학교에서 오늘하루도 무사히 마쳤답니다.


8월 7일 [하회황토건축학교 ~ 경천교 오리섬 ~ 상도촬영지]


  아침 7시부터 안동대에서 정기영 교수님이 오셔서 ‘바람’과 함께 낙동강 상류의 제방 길을  걸었습니다. 정기영 교수님은 모래와 자갈의 필터작용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준설을 통해 더러운 물을 많이 만드는 것이 무슨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며, 4대강을 반대하든 찬성하든, 인간의 입장이 아닌 자연의 입장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씀해 주셔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였습니다.

 

  제방 길을 걷다가 구담교에서 처음으로 파헤쳐진 낙동강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준설된 모래가 낙동강 물길을 막고 있는 걸 보니 다시 한 번 4대강을 흐르게 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이후에는 걸을 수 있는 길이 없어, 트럭을 타고 삼강마을 까지 갔습니다. ‘강과 습지를 사랑하는 상주사람들’의 회원이신 한 분이 트럭을 대여해주셔서 편히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생명그물에서 아이스크림을 제공해주셔서 대원들의 많은 환호를 받았답니다. 매일 주변 분들의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고 오늘도 바람은 힘차게 걸음을 옮깁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도시락을 싸서 가지고 온 주먹밥으로 점심을 먹고, 영강의 옆 정자에서 휴식을 가졌습니다. 지리산 종주와 더운 여름날씨 때문에 부상자가 속출했습니다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걸어갑니다.

 

IMG_1174.png

 

  식사를 마친 이후, 서로의 어깨를 잡으며 낙동강 물을 건넜습니다. 이곳은 공병부대가 공사를 맡는다고 해서 논란이 된 지역입니다. 이후에는 또 다시 공사현장입니다. 낙동강 700 리 시발비를 지난 ‘바람’은 남쪽으로 남쪽으로 흘러갔습니다. 그러나 강은 제대로 흐르지 못했습니다.

 

 

DSC00369.pngIMG_1191.png

 

  오늘의 목적지는 드라마 상도촬영지입니다. 지율스님과 강과 습지를 사랑하는 사람들, 그리고 낙동강을 지키려는 시민들이 함께 야영을 하는 날입니다. 그런데 도통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지리산종주에 이어 너무 많이 걸었나 봅니다.

 

  저녁 6시, 이제 트럭을 탈만도 한데 사람들은 좀처럼 포기하지 않습니다. 밤 8시 해가 다 떨어지고 나서, 집행위원장이 중단을 권고한 이후에야 트럭에 오릅니다. ‘바람’대원들의 오기와 열기가 4대강을 반드시 막아낼 거라 믿습니다.

 

  밤에는 많은 분들과 함께 ‘바람’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3분 동안 모든 불을 끄고, 침묵 속에서, 강이 흐르는 소리 풀벌레가 우는 소리를 듣고, 하늘의 별을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아름다운 별의 모습에 다시 한 번 감탄합니다. 이 정권은 이들의 소리와 별을 볼 수 있을까요? 포크레인 소리만을 사랑하는 사람은 결코 들을 수 없는 생명과 평화의 소리였습니다.

 

  모기장 하나와 매트하나로 야영이 시작됐습니다. 조금 춥기는 했지만 너무 피곤해서인지 모두들 이내 잠이 들었습니다.


8월 8일 [상도촬영지 ~청룡사 ~ 상주보]


  아침 일찍 눈을 뜨자마자 지율스님과 함께 상주보로 향했습니다. 상주보는 현대건설이 공사를 하고 있는 곳입니다. 상주보로 가기 전 청룡사라는 절을 지납니다. 그 위에서 내려다 본 낙동강의 모습은 참담했습니다. 모래로 뒤덮인 낙동강, 모래에 갇힌 낙동강의 색깔은 녹색이었습니다. 녹조가 낀 낙동강, 이것이 이명박 대통령이 말하는 녹색뉴딜인가 봅니다.

 

DSC00525.pngIMG_1256.png

 

 

  지율스님은 모래를 파고 제방을 높이올린 옆의 마을들을 가리키며 홍수가 나면 모두 잠길 것이라고 걱정하셨습니다. 예상수몰지역을 지도에 직접 표시를 하기도 하셨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의 편리 때문에 파괴되는 자연을 보며 마음 아파 하셨습니다. 

 

DSC00507.png

 

  상주보 건설현장을 지나 강창교까지 걸었던 길은 사막과 같았습니다. 모래뿐인 언덕에서 어떠한 생명도 느낄 수 없었습니다.

 

DSC00432.png

 

  2일부터 시작된 바람은 이제 7일째를 맡게 됐습니다. 그동안 부상자가 생기기도 하고, 열악한 환경에 힘들어 하기도 했지만, 낙동강이 파헤쳐진 모습을 본 대원들은 결코 멈추려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친 대원들이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한동안 제대로 씻지도, 자지도 못했던 대원들은 ‘승곡농촌체험학교’에서 달콤한 휴식을 가졌습니다. 승곡농촌체험학교의 배려로 전체 숙소를 빌릴 수 있었습니다. 물론 그냥 휴식을 가진 것은 아닙니다.^^;;

 

  밀린 빨래도 하고, 지금까지의 일정에 대한 평가도 이어졌습니다. 빨리 4대강사업의 진실을 알리고 싶은 마음에 많은 이야기들이 쏟아냈습니다. 조별토론과 학습시간도 빠질 수 없죠. 10일 부산에서 열리는 문화제에서 우리가 보고 들었던 것들을 시민들과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지금은 열심히 몸짓과 공연을 준비하고 있답니다. 내일은 지율스님과 함께 해평습지를 갑니다. 또 그곳으로 가는 길은 얼마나 파괴되고 있을지, 하루라도 빨리 4대강을 그냥 흐르게 하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IMG_1080.pngIMG_1210.png

 

           

4대강 사업 반대, 생명평화 도보순례 ‘바람’을 도와주신 분들


사람연대, 전국노동자회,인연맺기운동본부, 행동하는 의사회, 사회당, 진보신당, 인천사람연대, 지리산초록배움터, 지리산생명연대, 지리산사람들, 생명그물, 강과 습지를 사랑하는 상주사람들, 승곡농촌체험학교, 하회황토건축학교, 의평마을회관, 신림리 마을회관, 김병관, 지율스님, 서울대학교 운하반대교수모임, 한살림,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학회 디딤돌,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생회 ucc, 국민대학교 동아리연합회, 한국교원대 총학생회 청람대로,  한국교원대 동아리연합회, 그 외 수많은 시민들.  



이후 주요일정

 

 9일(월) 지율스님과 함께하는 해평습지 답사

10일(화) 5:00 4대강 사업반대 생명평화 도보순례단 '바람' 증언대회

             7:00 4대강 사업반대 부산시민 문화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226
어제
8,039
최대
15,069
전체
2,220,801

상호명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사업자번호 : 604-82-02975  대표자명 : 최정식  대표번호 : 051-678-6190
Copyright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