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무지부장 후보 기호1]임은기,공약세부실천방안입니다. > 열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열린게시판

자랑스러운 우리는! 부산지하철 노동조합

[역무지부장 후보 기호1]임은기,공약세부실천방안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2,173회 작성일 09-12-13 13:05

본문

 안녕하십니까

역무지부장 후보 기호1번 임은기입니다.


11월30일 선거 등록을 하고 오늘까지 14일째 조합원 여러분을 매일 만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부지런히 다니며 89개 역사의 A,B,C 각 조별,

각 호선별 운영사업소와 본사까지 현장을 찾았습니다.

그렇지만, 지정휴일이나 휴가로 뵙지 못한 조합원이 여럿 있어,

모든 조합원을 만나고 싶었던 처음 마음은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내일, 모레 이틀간의 선거운동기간이 남았습니다.

그 기간동안 시간과 체력이 허락하는 한, 열심히 조합원 여러분을 만나뵙겠습니다.

그동안 선거 활동을 통해 많은 조합원을 만났습니다.

왜 제가 역무지부장이 되어야 하는 지 말씀도 드렸고,

이번 경선이 얼마나 역무지부를 활성화 시키는 지에 대해서도 말씀드렸습니다.


선거 초반 약속드린대로,

그동안 조합원들께서 들려주신 의견과 임은기 선거운동본부의 논의를 묶어

선거 초반 발표한 선거공약의 세부적인 실천방안을 알려드립니다.


며칠 전 나눠드린 2차 선전물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좋은 공약과 멋진 실천 방안들을 내놓더라도,

결국 이것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조합원 여러분의 참여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다시 한번 공약 실천을 위한 첫번째 행동지침은 바로 조합원과 함께 사고하고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씀드립니다.



[활발한 소통체계 확립(선거공약 1번)]

▷ 역무지부 운영 전반에 대한 조합원 설문조사

▷ 지회간담회 분기별 정례화 실시

▷ 지부 소조장회의 정례화

▷ 지부소식지 발행 정례화


활발한 소통체계 확립을 위해

역무지부 운영 전반에 대한 조합원 설문조사를

임기와 동시에 바로 준비하겠습니다.

조합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회간담회 및 지부 소조장회의를 실시하여

역무지부 운영의 밑그림을 조합원 여러분과 함께 논의하여 정하겠습니다.


작년부터 시작한 역무지부 카페는

조합 소식을 전달하고 조합원 여러분의 의견을 듣는 소통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활발한 소통을 위해 역무지부 카페의 운영을 더욱 전문화시키고 활성화시켜,

명실상부한 지부 조합원의 공간으로 열어놓겠습니다.


현재 지회별로 편차가 있는 사내메일 및 지부카페를 통한 조합활동 보고를

지부 차원에서 체계를 잡아 일관성을 가지고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조합원 여러분 모두가 조합 활동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무지부 근로조건 유지 및 개선(선거공약 2번)]

▷ 관리역체계(구조조정) 저지

▷ 휴가의 동시 사용 등으로 인한 조별 유고에 대한 역 근무지원 체계 대안 마련

▷ 근무복 개선

▷ 이명박 정부의 공공기관 연가 사용의 강제촉진에 대한 저지

▷ 근무조 변경에 따른 불이익 해결(일요일 야간 근무 후 월요일부터 주간 근무시 지정휴무 미발생 문제 해결)


공사는 역별 체계를 관리역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준비를 끊임없이 하고 있습니다.

공사는 최근 몇 년 동안 관리역 체계 전환과 당직 폐지를

단체협상의 주 메뉴로 제출하는 것에서도 이를 알 수 있습니다.

관리역 체계 전환은 2002년 매표소 위탁전환부터 시작한

역무지부 구조조정의 연장선으로 반드시 막아야 합니다.

관리역체계 저지를 역무지부의 가장 중요한 투쟁현안으로 삼고,

열심히 투쟁하겠습니다.


주5일제 전환 후 높은 유고율에 따른 만성적 인력부족은

조합원 여러분이 필요할 때 적절한 휴가를 사용하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를 위한 해결 방법은 인원 충원이 유일합니다.

그러나 정부차원의 공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해 인원 충원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선 휴가 사용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역 근무지원 체계를 합리적으로 보완하여,

원활한 지원 근무가 가능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겠습니다.

내년 상반기 역무지부 노사협의회를 통해 그 방법을 찾겠습니다.


또한 근무복을 개선하고 근무조 변경에 따른 불이익발생을 해결하기 위해

상반기 역무지부 노사협의회에서 지부차원의 대안을 제시하고 노사협의를 이끌겠습니다.



[여성조합원의 복지향상(선거공약 3번)]

▷ 단협, 노사합의, 근기법 中 여성관련 사항 별도 정리하여 관리

▷ 여성조합원의 의견(애로사항) 수렴을 위한 여성조합원 간담회 실시

▷ 자녀를 둔 여성조합원의 근거리 배치 사측과 협의


현재 역무지부를 포함한 노동조합간부들은 남성 중심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성조합원의 참여를 이끌고, 여성조합원의 복지향상을 위해

여성조합원을 담당할 간부를 선임하겠습니다.


제가 역무지부장이던 2006년에도 지부에 여성부장을 선임한 사례가 있습니다.

여성부장의 활동을 통해 역무지부에도 여성간부를 선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여성조합원 여러분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우선 필요합니다.



[타 도시철도 견학 추진(선거공약 4번)]

▷ 희망 조합원의 신청에 의한 대상자 선정

▷ 견학 도시철도의 역무지부와의 간담회 개최

▷ 타 도시철도의 근로조건 등의 비교 및 분석


현재 궤도사업장들은 사업장별로 경쟁적으로 구조조정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 정부의 공기업선진화계획과 맞물려

궤도노동자의 고용불안을 유발하고 근로조건을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타 사업장에서 시행하는 구조조정은 부산지하철의 운영계획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동조합에서 선제적으로 타 궤도사업장 노동조합과 정기적으로 교류하고

구조조정 방향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 서울도시철도와 인천지하철에서 오랜 암흑기를 마치고

제대로 된 노동조합 집행부가 들어섰습니다.

이는 최근 이명박정부의 공기업구조조정에 따른

궤도노동자들의 위기의식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이들 서울도시철도, 인천지하철, 철도노동자들과 정기적으로 교류하여

타 도시철도의 근로조건 등을 비교 분석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부산지하철 역무지부의 근로조건을 향상시키고,

구조조정을 저지하는 밑바탕으로 활용하겠습니다.



[지부 상조회 2010년 상반기내 창립추진(선거공약 5번)]

▷ 기수별 대표자 선임하여 추진단 발족

▷ 타사업장, 타지부 상황분석

▷ 조합원 의견수렴 및 반영

▷ 지부 상조회 출범


역무지부를 제외한 타 지부의 대부분은 상조회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역무지부 조합원들의 오랜 바람이던 역무지부 상조회를

내년 상반기 중 설립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습니다.

역무지부장 임기를 시작하면 우선적으로 추진을 주도할 책임자를 선정하겠습니다.


2006년 단체교섭에서 노사합의로 장제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역무지부에서는 장제위원회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고,

매년 지부노사협의회때마다 역무지부는 공사와 운영사업소에

장제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공사와 운영사업소가 등한시하는 장제위원회를

역무지부 상조회가 출범하면 상조회에서 장제위원회의 역할을 맡도록하여

장제위원회를 제대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문화체육행사의 다양화 모색(선거공약 6번)]

▷ 산행뿐만이 아니라 수목원·고적지 답사 등 다양화

▷ 조합원 30명 이상 자율행사에 대한 지부차원의 예산지원


지부 등반대회는 2005년 제가 역무지부장을 할 때 활성화되었습니다.

현재 역무지부 등반대회는

조합원의 높은 관심과 많은 참여가 이뤄지는 안정적인 지부 행사입니다.

이제 양적으로 성장한 등반대회를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여

산행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을을 다니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11월 역무지부 등반대회가 지리산 올레길을 다녀온 것처럼,

내년에는 수목원이나 고적지 답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509
어제
2,630
최대
15,069
전체
2,190,219

상호명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사업자번호 : 604-82-02975  대표자명 : 최정식  대표번호 : 051-678-6190
Copyright © 부산지하철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